대부분의 사람들은 몸이 아프거나 이상을 느끼면 작은 병원보다는 큰 병원에 가기를 선호하게 되는데요. 큰 대학병원 진료를 위해서는 진료의뢰서가 있어야 경제적으로 유리하다고 합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진료의뢰서 없이 대학병원 진료 받아도 될까요.
진료의뢰서 없이 대학병원진료 받아도될까요
진료의뢰서 없이 대학병원진료를 간다면 경제적인 부담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동네 작은 병원에 대한 못미더움과 큰 병원에 대한 선호도로 인해 무조건 큰 대학병원부터 찾는 경우가 많은데요.
물론 진료의뢰서 없이 대학병원진료를 받는것인 불가능한 것은 아닌데요. 다만 아래 내용에 대한 먼저 이해를 하시면 많은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진료의뢰서와 진료확인서
진료의뢰서는 보통 작은 병원에서 진료를 받다가 큰 병원으로 옮길때 큰 병원에 진료를 요청하기 위해 작성되는 경우가 많고, 혹은 특정한 의사를 선택해 진료받고자할 때도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와 비슷한 용어로 진료확인서라는 것이 있는데요. 참고로 말씀드리면 진료확인서는 의사가 환자에 대한 진료를 한 이후에 검사 결과를 기록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환자의 성명, 연령, 주민등록번호를 비롯 담당의사의 서명까지 포함하게 되어있는 기록지입니다. 환자에 대한 기록과 함께 환자 질환에 맞는 약처방을 위해서도 활용이 된다고 합니다.
진료의뢰서 없이 대학병원진료 왜 불리할까
진료의뢰서 없이 대학병원을 찾으면 큰 대학병원의 경우 중증환자나 위급한 환자에 대한 진료의 질이 떨어질 수 있고, 당사자에게는 경제적 부담이 될수 있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병원을 찾은 환자의 상태를 처음으로 진료하게되는 초진과 재진의 차이, 의료체계에 의한 병원 등급의 차이 등에서 발생하는 것인데요.
또한, 의료체계에 따라 구분된 병원 등급별로 가산율이 서로 다르게 책정되어 있고, 곧바로 큰 대학병원진료를 보러 간다면 진료비에 대한 자기 부담금도 커진다고 해요. 여기서 병원 등급별로 가산율과 진료비 자기부담금에 대해 알아두시는게 좋은데요.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볼게요.
진료의뢰서 없이 대학병원진료를 받아도 되는지 궁금하셨던 분들이라면 궁금증이 해결되셨으면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