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근처에 보면 병원은 아니고 작은 규모로 의원이 많이 있는 것을 볼 수 있으실 텐데요. 의원도 병원인 것 같은데 규모가 작으면 의원이라고 하는 것인지 의원과 병원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의원과 병원의 차이점
의원과 병원의 차이점은 크게 의료체계에 따른 병상수, 전문의와 일반의의 차이로 나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병상수로 본 의원과 병원의 차이점
의원과 병원의 차이점은 병상수가 기준이 되어 분류된다고 볼 수 있는데요.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병원에는 대학병원이 속하는 3차 병원이 있고, 종합병원이 2차, 그리고 동네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의원인 1차가 있습니다.
1차 병원에 속하는 의원의 경우 병상수 30개 미만에 외래진료 위주의 진료가 이루어지죠. 반면, 2차 병원급 이상인 병원의 경우 병상수 30개 이상에 의원보다 더 많은 진료과목과 전문의를 두고 있습니다.
전문의와 일반의의 차이
의원과 병원의 차이점은 전문의와 일반의에 있는데요. 의사가 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보통 의대를 나와서 국가고시를 합격하게 되면 의사 면허 취득이 가능해지죠. 이 과정까지 거친 경우를 일반의라고 합니다.
반면, 일반의 자격 취득 후 인턴 1년과 레지던트 4년의 과정을 거쳐 전문 과목에 대한 추가 수련과 전문의 시험에 합격할 경우 전문의가 되는 것인데요. 말대로 전문의는 일반의보다 더 전문적인 과정의 심화 학습을 거쳤다고 이해하시면 편합니다. 일반의와 전문의 모두 병원 개원이 가능하지만 간판에 진료 과목과 종류 명칭이 붙는 위치가 서로 다른 점이 있습니다.
진료 비용의 차이
의원과 병원의 차이점은 이 외에도 병원 등급별로 가산율과 진료비를 부담하는 본인 부담금에 대한 비율이 서로 차이가 있는데요. 이를 알아도 병원 갈 때 진료를 절약할 수 있다고 합니다.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의원과 병원의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 위에 자세히 알아보기를 통해 더 많은 내용을 함께 알아두시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댓글